지금과 같은 부동산 불황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성과 안정성이 높은 재개발, 재건축에 있어서 손해를 가지 않는 것은 없을까요 ? 즉 맵집 좋은 투자처나 ESG 지속가능한 개발 즉 장기적으로 우수한 퀄러티를 가진 곳은 없을까요? 해답은 하이엔드 사업장입니다.
하이엔드로 채택되었거나 (준) 하이엔드 특화사업장이거나 하이엔드를 지행하거나 후보지 이거나 이런 곳은 맵집이 좋은 곳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하이엔드의 기준은 뭘까요 ? 설령 하이엔드가 아니더라도 풀빵같은 아파트로 언제 또다시 올지 모르는 부동산 거품의 시대에 장기적으로 퀄러티를 가진 ESG 지속가능한 개발의 사업장은 없을까요?
즉 퀀텀도약(양자역학) 형 부동산은 없을까 고민스럽습니다.
그래서 재개발,재건축,아파트분양브랜드에서 하이엔드 기준 가이드라인을 정리해봤습니다. 조합원이나 투자자입장에서는 이런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설령 하이엔드가 아니더라도 지속적인 가치성을 가진 곳으로 자신의 아파트를 좀더 주체적으로 피드백해서 만들어낼수도 있고 구분해 낼수 있는 기준을 알려드릴려 합니다. 부동산 현장에서는 아직 하이엔드에 대해서 그 파급력이나 중요성을 간과하는 곳이 많은데요. 참조로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재개발,재건축 도시환경정비에서 하이엔드 가이드라인 ●
1. 현대건설 하이엔드 브랜드 '디에이치(THE H)' 및 미국 부동산전문사이트 리얼터닷컴 기준
▶가장 우수한 입지 조건을 갖춘 곳이어야 하며 ▶시공품질관점 ▶서비스관점 ▶사후관리와 고객관리관점 등 7가지 조건을 충족해야만 하이엔드 브랜드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이는 미국 부동산 전문 사이트인 ‘리얼터닷컴’에서는 초호화 주택의 6가지 개념과 비슷한데요. 첫째로는 프라임 입지, 둘째는 명품이라 불릴 만한 가격, 셋째는 최고의 품질, 넷째는 정교하고 품격 있는 커뮤니티 시설, 다섯째는 사생활을 지켜줄 완벽한 보안, 여섯째는 건축적 배경입니다.
2. 대림이앤씨 하이엔드 브랜드 '아크로(ACRO)' 기준
대림이앤씨는 주택의 시세와 소득, 자산, 소비수준을 기준으로 만 20세 이상 최상위 0.1% (약 12,000명)에 대한 빅데이터 조사를 통해서 360° 전 방위적인 라이프스타일을 통합적으로 분석했는데요. 이를 토대로 진정한 최고 수준의 주거 가치에 대한 정의, 입지, 기술, 품질, 서비스, 디자인 등 모든 요소에 하이엔드 라이프스타일 니즈를 반영한 최상의 주거의 기준을 세워서 ▲모두가 선망하는 최상의 입지(Iconic Landmark) ▲타협하지 않는 최상의 품질(Extraordinary Quality) ▲따라올 수 없는 선도적 기술 혁신(Innovative Technology) ▲소수만이 누리는 맞춤형 서비스(Exceptional Service) ▲취향과 안목이 돋보이는 디자인(Unprecedented Design) 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3. 포스코 건설 하이엔드 브랜드 '오티에르(HAUTERRE)' 기준
하이엔드 후발주자인 포스코 건설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의 조합원들을 위해 새로운 하이엔드 기준을 내세웠는데요. 이는 "사업 우려 없애고 개발이익 최대로, ‘ZERO SOLUTION’ 도입"이라는 것 입니다.
이는 포스코건설이 탁월한 시공 이외에도 조합의 사업안정성을 돕는 다양한 계획을 조합원들에게 약속했는데요. 사업비·분담금·프리미엄에 대한 걱정을 사업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없애는 ‘제로 솔루션’을 도입, 사업절차까지 하이엔드급으로 지원한다는 것 입니다.
우선 최근 포스코건설이 제안한 방배신동아재건축에 있어서 구체적 사례를 보면 시공자 선정부터 준공까지 조합의 모든 사업비(총 8,390억원 추정)를 포스코건설이 책임 조달한다. 우선, 포스코건설의 자체자금을 통한 1% 고정금리로 초기사업비 300억원을 조달하며 필수사업비 1,750억원도 포스코건설이 직접 책임 지원하며, 다주택자 및 과다채무자, 세입자 문제 등 이주지원을 위해 세대당 12억원 상당의 사업촉진비 6,640억원을 책정하고 대출과 이자에 대한 부담을 없앤 입주분담금 100%를 도입해 조합원들의 각종 금융부담을 줄이고, 착공기준월인 2024년 3월까지 물가인상에 따른 공사비 증가는 없으며 분양가 상한제에 따른 후분양·가산비 극대화 등을 통해 단지 프리미엄과 이익을 최대화 할것이라는 것 입니다.
● 부산지역 하이엔드 / 특화(준 하이엔드) 지역 ●
[센텀권역]
우동1구역(삼호가든재건축) DL이앤씨 아크로
광안A구역(구 망미2구역) DL이앤씨 아크로
우동3구역 현대건설 디에이치
대연4재건축 대우건설 써밋
(예정) 한진CY웨이브시티(유니콘센텀) 롯데건설 르엘
(예정) 남천 메가마트 대우 써밋
남천2구역 삼익비치 GS건설 자이 (하이엔드급 특화설계)
[부산 센트럴파크 시민공원권역]
시민공원 촉진3구역 DL이앤씨 아크로
[예정] 시민공원 (국제진양물산부지) 대우건설 써밋
[예정] 시민공원 촉진1구역,촉진2구역 GS건설 자이 (하이엔드급 특화설계)
이상과 같은 곳들이 하이엔드 프랙탈로써 주변지역의 재개발,재건축의 고급화 또는 촉진화를 리더할 지표가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