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2구역 레이카운티

 

거제2구역 레이카운티(삼성물산,대림이엔씨,현대산업개발)의 경우 최초 관리처분계획

거제2구역 레이카운티(삼성물산,대림이엔씨,현대산업개발)의 경우 최초 관리처분계획에서는 비례율이 106%이고, 관리처분계획변경 시에는 150%이며, 분양 총4,470세대 중 조합원분양1,481세대, 일반분양 2,759세대가 이뤄진 후, 최근에는 추정비례율이 200%(일반분양가1,810만원 대비 조합원 분양가 900만원대 추정할인율 50%)로 보고있는데, 커뮤니티, 마감재 및 옵션 등의 고급화를 통해 비례율 150% 적용에 대해서 묻은 설문조사가 이뤄졌습니다. 

 

거제2구역 고급화 및 비례율 관련 설문조사1
거제2구역 고급화 및 비례율 관련 설문조사2

- 거제2구역 레이카운티 사업시행계획변경, 관리처분계획변경고시문, 입주자모집공고문

거제2구역입주자모집공고.pdf
4.18MB
08 - 13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시 제2022-50호.pdf
1.10MB
연제구고시_제2021-35호_2021-04-07_고시문.pdf
0.75MB

 

거제2구역 레이카운티 재개발조합장이 학교부지를 공원화하고 이에 대해 특정업체 몰아주기 의혹으로 방송을 타면서 조합임원 해임총회가 조합발의로 공고가 2023년 4월 1일자로 잡혔습니다.

거제2구역 레이카운티 해임총회(23년 4월 1일)

 

현재 부동산거품의 시대에 퀄러티가 상당한 중요한 트랜드로 작용하고 있고, 하이엔드 고급화가 추세인 상황입니다. 특히 마감재, 옵션 등이 과거3~4년 전에 선택된 것들이 많아 장기투자나 입주를 바라는 조합원들입장에서는 고급화에 중점을 두는 것 같고, 해당 거제2구역 지역이 시민공원권,검찰법원(우수학원가우수학원가교육지역)이라고 ESG지속가능한 개발의 흐름상 고급화 수요가 높은게 현실입니다. 반면 당장의 시세차익입장에서는 고급화보다는 높은 비례율 등을 원하는것으로 보입니다.

거제2구역 레이카운티

이런 견해의 차이가 이번에 조합장 임원해임총회로 표출된것 같네요. 여하튼 거제2구역 7조원 삼성래미안 벨트(장전3구역,온천2구역,4구역,거제2구역, 연지2구역 래미안 효과)의 강남 이외에 최고의 고급입지에 위치한것으로 인기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센텀권역과 시민공원에 촉진3구역 등 10여개 이상의 하이엔드 브랜드가 속속  진출할 경우 기존 하이엔드 브랜드가 없는 래미안이나 퀄러티 중심의 부동산트랜드의 장기적 관점에서는 거품론으로 하락율이 30%~40% 가격폭락이 예상되므로, 하이엔급에 준하는 고급화에 방향성을 두는게 좋아보입니다. 여하튼 현재는 전국 최고의 입지, 개발이익 200%, 할인율 50%을 갖춘 사업장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 하이엔드 관련 포스트

 

 

[재개발재건축투자가이드]부동산거품불경기에도 재개발,재건축의 퀄러티를 갖춘 프랙탈 '하이

지금과 같은 부동산 불황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성과 안정성이 높은 재개발, 재건축에 있어서 손해를 가지 않는 것은 없을까요 ? 즉 맵집 좋은 투자처나 ESG 지속가능한 개발 즉 장기적으로

bct0322.tistory.com

 

 

[수익성분석] 전국최고 조합원 할인율이 50% - 센트럴파크 시민공원 촉진3구역 하이엔드 대림이앤

서울 강남 다음으로 현재 최고급 하이엔드 브랜드를 재개발, 재건축으로 많이 유치하고 있거나 예정인 곳이 부울경 대종심기능화 되어 가고 있으며 부동산불경기에도 불구하고 퀀텀시티의 양

bct0322.tistory.com

 

 

 

부산 하이엔드 - 시민공원 촉진3구역 아크로 라로체

서울 강남 다음으로 현재 최고급 하이엔드 브랜드를 재개발, 재건축으로 많이 유치하고 있거나 예정인 곳이 부울경 대종심기능화 되어 가고 있으며 부동산불경기에도 불구하고 퀀텀시티의 양자(확률)도약처럼 퀄러티를 갖추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센텀(해운대,수영구,금정구 일원)과 센트럴파크 시민공원입니다.

센텀 세가사미 부지에 미국의 부동산투자회사(Hines)에서 2027년을 준공목표로 1조 4000억 원을 투자해 연면적 18만㎡에 달하는 74층 높이의 초고층 건물을 짓고, IBM양자컴퓨터를 설치해 양자컴퓨터컴플렉스(시티,허브)을 구축해, 양자 컴퓨터 연구와 비즈니스 상용화를 추진
  • 하이엔드 가이드라인

 

[재개발재건축투자가이드]부동산거품불경기에도 재개발,재건축의 퀄러티를 갖춘 프랙탈 '하이

지금과 같은 부동산 불황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성과 안정성이 높은 재개발, 재건축에 있어서 손해를 가지 않는 것은 없을까요 ? 즉 맵집 좋은 투자처나 ESG 지속가능한 개발 즉 장기적으로

bct0322.tistory.com

그중 전국 최고의 하이엔드 아크로 디자인과 커뮤너티시설로 5성급 호텔수준의 아파트 퀄리티를 자랑하고 있는 곳이 시민공원 촉진3구역입니다. 여기는 단지 촉진3구역 뿐만 아니라 시민공원을 중심으로 ESG지속가능한 개발 요건을 충족하며 문현금융단지(블락체인특구, 산업은행이전, 북항재개발, 유엔 헤비타드 해양도시, 철도기지창 의료허브 구축 등) 주변에 하이엔드급 브랜드들이 속속 진입대기 중이기도 합니다.

촉진3구역 아크로 분양신청 내역, 출저 조합

23년 1~3월에 이뤄진 촉진3구역 아크로 하이엔드의 분양신청은 대략 자기자본개발이익의 비례율 103%이며, 조합원 분양가 평당 평균18,500,000원, 일반분양가 37,000,000원으로 분양할인율은 50%입니다. 촉진3구역은 다른 곳의 사업성 높은 재개발, 재건축 구역들에서 보이는 개발이익율을 140%로 하는게 아니라 분양할인율쪽으로 조합원들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방향으로 분양할인율이 무려 50% 전국 최고의 할인율이라는 분양설계가 이뤄졌습니다.

촉진3구역 

한마디로 조합원들에게 대림이앤씨에서 세계적 유명한 설계업체를 동원해 강남에 분양되거나 분양될 하이엔드 이상의 최고급 5성급 호텔수준의 아크로 특화하겠다고 내세운 것 같습니다.  

  • 촉진3구역 분양타입과 조합원 분양가
분양 타입 / 조합원 분양가
(평균1,850만원, 일반분양가 3,700만원)
분양 타입 / 조합원 분양가
(평균1,850만원, 일반분양가 3,700만원)
59형 / 46,250만원 122형 /  96,200만원
69형 /  55,000만원 124형 /  96,200만원
74형 /  57,350만원 134형 /  105,450만원
84(A~H)형 /  62,900만원  
90형 /  70,300만원  
95형 /  74,000만원  
98형 /  78,850만원  
107형 /  83,250만원  
114형 /  88,800만원  

현재 촉진3구역 평형별 분양신청 결과를 보면, 5성급 하이엔드 아파트 답게 중대형평형에도 상당히 분양신청이 많이 이뤄져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향후 전국에서도 하이엔드 브랜드에서 고급화 하이엔드 니츠전략에 따라 펜트하우스급의 중대형평형을 계획간것 같고, 이에 조합원들이 부응한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촉진3구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조합원들의 수준이 상당히 높은데요. 과거 비대위가 조합설립인가 취소 판결을 통해 사업을 저지시킨 후, 임원해임, 시공사 교체 등을 통해 현재 하이엔드 대림이앤씨를 선택했는데요. 최근 양정1구역이 일반분양1000세대 분이 부동산 미분양, 불경기시대 완판된것으로 보면, 부산진구 시민공원이 부산의 센트럴파크화 되어가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보이며, 현재 주변에 지속적으로 재개발, 재건축이 촉발되어 일련으로 되고 있는 점도 이를 반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촉진3구역은 장점이자 단점은 향후 조합집행부나 시공사가 조합원들의 욕구에 충족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현재 활동하고 있는 비대위를 축으로 과거처럼 다시 판을 엎는 전략을 선택할수 있는 점이 있다 할것 입니다. 또한 해당 지역이 동래활성단층및파쇄대 지역으로 특수조건의 지반공사 부분에 유의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광안대교에서 바라본 남천2구역 삼익비치 재건축

남천2구역 삼익비치 재건축 SWOT분석(Strengths 강점, Weaknesses약점, Opportunities기회, Threats위협)해보기 입니다.

남천2구역 삼익비치 재건축 분양신청 안내서(출처 : 남천삼익재건축조합, fmkorea.com 샤크릴)

[재건축 소유 전용면적 84㎡ 기준 조합원분양 개발이익비례율 100%, 할인율 8%, 종전감정평가약 약10억원, 신축 전용면적 84㎡ 분양가 약18억원, 3.3㎡ 당 조합원 분양가 4500만원, 일반분양가4900만원, 추가부담금 약7억원]

일단 시장에서는 최근에 남천2구역 3지구 삼익비치 재건축의 2022. 10. 5. 사업시행인가 기준으로 한 조합원 분양신청에서 시공사 GS건설의 자이 분양예정아파트 전용면적 84㎡에 적용하면 3.3㎡당 조합원 분양가는 4,500만(일반분양가4900만원) 할인율 8%, 분양가는 17억 원 935만 원이고, 자기자본에 대한 개발이익율 비례율100% 기준으로 조합원이 부담해야 하는 추가분담금은 6억8195만 원이며, 분양가에 추가분담금을 뺀 기존 전용면적 84㎡ 소유 종전감정평가액이 10억2740만 원인 셈인데, 이는 3.3㎡당 감정평가액이 3,021만 원 입니다. 현재 조합원들 중에는 감정평가액이 거래시세보다 30% 저평가되었다며 일부 반발하고 있기도 합니다. 현재 남천삼익비치 재건축은 여러 문제로 서울 강남의 종단위 지구단위계획변경 용적률 상향(3종일반에서 준거거지 일반상업지 변경)이나 추가적인 대지지분이 없는 상황으로 일반분양이 없어 조합원 추가부담금이 높은 상황입니다.

네이버 부동산 시세

일단 부동산경기 활황일때 22년 10월 5일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기존 건물의 종전감정평가액의 매매거래사례에 의해  10억원의 평가액은 나왔는데, 작년 부동산경기 활황기 때 호가시세 15억원에서  20%~30% 정도 낮게 최근 거래되고 있는데, 호가를 제외한 사업시행인가 공람 2020년 초반기 매매 기준으로 감정평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2. 10. 5. 남천2구역 삼익비치 재건축 사업시행인가 고시 및 공문
수영구고시_제2022-85호_2022-10-05_고시문.pdf
2.08MB

 

* SWOT분석(Strengths 강점, Opportunities기회)

- Strengths 강점 : 하이엔드 오성급 수준의 아파트 퀄러티와 센텀 위치

일단 강점은 서울 강남 다음으로 하이엔드급 아파트들이 재개발, 재건축이 많이 일어나는 부산 센텀권역에 있는 곳으로 하이엔드 센텀 위치에 해당되어 장기적으로 퀄러티가 높은 지역에 해당 되며, GS건설과 조합이 설계,마감재,인테리어,커뮤너티시설 등 역시 하이엔드급 오성급 호텔 수준으로 계획하고 있어, ESG지속가능한 개발의 쾌적성을 가진 퀄러티가 있어 장기적으로도  

 

 

 

[재개발재건축투자가이드]부동산거품불경기에도 재개발,재건축의 퀄러티를 갖춘 프랙탈 '하이

지금과 같은 부동산 불황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성과 안정성이 높은 재개발, 재건축에 있어서 손해를 가지 않는 것은 없을까요 ? 즉 맵집 좋은 투자처나 ESG 지속가능한 개발 즉 장기적으로

bct0322.tistory.com

- Opportunities 기회 : 저평가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고품질화 설계변경

현재 부동산 거품의 시대에 상당히 거래가격이 다운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앞으로 시장의 강력한 압박에 의해  지속적저평가 될 가능성이 높고, 이런 경우 고가격 시장성에 부합한 설계변경으로 향후 주변 하이엔드 재개발, 재건축 트랜드에 따라 하이엔드가 없는 GS건설이 고퀄러티 지명도를 높이기 위해 업그레이드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Weaknesses약점 : 하이엔드 브랜드 없는 GS건설의 특화설계의 한계

현재 부동산시장은 거품의 시대를 거치면서 일반시장에서 고급화 시장으로 진화의 과정을 겪고 있는데요. 삼성물산 래미안과 GS건설 자이의 경우 별도의 고급화 브랜드 하이엔드 없이 특화설계로 대응하고 있는 한계가 있는데요. 즉 차별성 없는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에 일반 브랜드가 동반 도태될 경우 상당히 위험한 마켓 포지션인데요. 과연 강남과 센텀에 하이엔드로 승승장구하는 브랜드와의 장기적 경쟁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는가에 고민스러운 부분이 약점으로 보입니다.

-  Threats 위협 : 삼익비치의 고질적인 문제 특수지질, 해수면 상승, 설계변경에 따른 엄청난 추가부담리스크

출처 : 남천삼익재건축 조합

 삼익비치재건축은 태생적 바다가 전망을 가지고 있는 장점인 동시에 최근 불거지고 있는 기후온난화 해수면 상승, 일광기장활성지진단층파쇄대선에 있는 특성 상 특수지질로 인한 엄청난 추가공사비와 부담금 리스크가 있고, 공사 진행 중에도 이런 난관을 만나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보이는데요. 하이엔드 브랜드가 아니어서 특화설계로 인한 상당한 추가부담금 리스크가 향후 조합원들에게 비대위, 내부분쟁의 리스크가 상당히 높은 상황입니다. 과거 반GS파 비대위가 상존하고 있는 만큼 내부분쟁으로 인한 사업지연리스크도 상당해 보입니다. 현재 이런 점을 상쇄하기 위해 후분양을 선택하려고 하는데요. 후분양시 조합원들에게 하이엔드급의 경우 상당한 금융지원을 해줘야하는데, 현재 GS건설의 사정상 어려움이 예상입니다.

 

 

[재개발SWOT투자분석 가이드] 사례 - 전국Top100위권 신가동재개발(하이엔드 대림 아크로) 연임실패

지금과 같은 부동산불경기에 도시환경정비사업 재개발, 재건축의 투자나 조합원분양권에서 있어서 중요 요소중 하나가 입지뿐만 아니라 조합, 조합원의 사업 운영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즉

bct0322.tistory.com

 

● 요지 : 재개발 조합설립 후에 1인 조합원의 다수 건물 등 물건 중 일부를 양도한 한 경우 대표조합원에게만 분양권이 있지 않고 그 지분을 취득한 자도 분양권 있다라는 학동4구역의 광주고법 및 대법원(2020두35325 선고 2020.05.28 심리불속행기각, 광주고법 2020. 1. 23. 선고 2018누6446 판결) 판결 확정이 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후 최근 이를 뒤집어 분양권 없다는 온천4구역에서 대법원의 직접 상세 심리 판결(대법원 2023. 2. 23. 선고 2020두36724, 부산고등법원 2020. 2. 12. 선고 2019누23845 판결)이 처음 나왔습니다.

[대법원 2020두36724 판결 : 주택재개발사업 조합설립인가 후 1인의 토지등소유자로부터 정비구역 안에 소재한 토지 또는 건축물의 소유권을 양수하여 수인이 소유하게 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그 전원이 1인의 조합원으로서 1인의 분양대상자 지위를 가진다고 보아야 한다.]

 

(1) 온천4구역 대법원 판결문 

대법2020두36724 판결.pdf
0.08MB

(2) 학동4구역 광주고법 판결문(대법원은 심리불속행기각으로 상세 판단이 판결문에 없슴) 

광주고법2018누6415 분양권확인청구.hwp
8.67MB

  영향 : 조합설립이후에 여러 채를 소유하고 있는 다물권자의 대표조합원이 양도를 할 경우 대법원 판결에 따라 투기적 양도로 보아 조합원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게 시장에 일대 혼란의 상황에 처해져 있습니다.

  • 대법원 2023. 2. 23. 선고 2020두36724 판결문 상세내용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7. 2. 8. 법률 제14567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이라 한다) 제19조 제1항은 “정비사업(시장·군수 또는 주택공사 등이 시행하는 정비사업을 제외한다)의 조합원은 토지등소유자(주택재건축사업의 경우에는 주택재건축사업에 동의한 자에 한한다)로 하되,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수인을 대표하는 1인을 조합원으로 본다.”라고 규정하면서, 제1호에서 ‘토지
또는 건축물의 소유권과 지상권이 수인의 공유에 속하는 때’를, 제2호에서 ‘수인의 토지등소유자가 1세대에 속하는 때(이 경우 동일한 세대별 주민등록표 상에 등재되어 있지 아니한 배우자 및 미혼인 20세 미만의 직계비속은 1세대로 보며, 1세대로 구성된 수인의 토지등소유자가 조합설립인가 후 세대를 분리하여 동일한 세대에 속하지 아니하는 때에도 이혼 및 20세 이상 자녀의 분가를 제외하고는 1세대로 본다)’를, 제3호에서 ‘조합설립인가 후 1인의 토지등소유자로부터 토지 또는 건축물의 소유권이나 지상권을 양수하여 수인이 소유하게 된 때’를 규정하고 있다. 한편, 구 도시정비법 제48조 제2항 제6호는 관리처분계획의 내용에 관하여, “1세대 또는 1인이 하나 이상의 주택 또는 토지를 소유한 경우 1주택을 공급하고, 같은 세대에 속하지 아니하는 2인 이상이 1주택 또는 1토지를 공유한 경우에는 1주택만 공급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구 도시정비법 제19조 및 제48조 제2항 제6호는 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었다. 종래에는 ‘토지 또는 건축물의 소유권과 지상권이 수인의 공유에 속하는 때’에만 조합원의 자격을 제한하였으므로, 조합설립인가 후 세대분리나 토지 또는 건축물소유권 등의 양수로 인해 조합원이 증가하여 정비사업의 사업성이 저하되는 등 기존 조합원의 재산권 보호에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2009. 2. 6. 개정된 구 도시정비법 제19조 및 제48조 제2항 제6호는 일정한 경우 수인의 토지등소유자에게 1인의 조합원 지위만 부여함과 동시에 분양대상자격도 제한함으로써 투기세력 유입에 의한 정비사업의 사업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존 조합원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 도시정비법의 규정 내용과 취지, 체계 등을 종합하여 보면, 주택재개발사업 조합설립인가 후 1인의 토지등소유자로부터 정비구역 안에 소재한 토지 또는 건축물의 소유권을 양수하여 수인이 소유하게 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그 전원이 1인의 조합원으로서 1인의 분양대상자 지위를 가진다고 보아야 한다.
나. 원심은, 제1심 공동원고 ○○○은 이 사건 정비사업 구역 내 부산 동래구 (주소생략) 집합건물 중 13세대를 소유하다가, 피고의 조합설립인가 후 그중 12세대의 소유권을 원고 등 12인에게 양도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과 원고 등 12인은 1인의 조합원 지위에서 1인의 분양대상자 지위를 가진다고 판단하였다.
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분양대상자의 판단기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잘못이 없다.

 

  문제점, 대처 및 구제방안 : 일단 대법원은 공공, 공익사업의 영역이 재개발,재건축이 투자, 투기적인 요소로 지나치게 확대되지 않도록 상세한 판단을 한 바가 있는데요. 문제는 지금과 같은 미분양의 상황에서는 최근 현실감에 동떨어진다는 것 입니다.

분양이 되지 않아 천문학적인 추가부담금과 공사비를 부담해야하는 조합이 자칫 파산의 위기에 처할수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는 이러한 다물권자, 공유자의 지분에 대해서도 분양권을 인정해줘야 하지 않나 싶은데요.

즉 분양권에 대해서 이런 부분들은 재량을 조합 및 인가행정청에 주는게 맞아 보이는데요. 헌법에서는 명확성 원칙, 포괄입법금지원칙에 따라 불명확한 이부분에 대해서 법원의 해석보다는 현실성 맞게 법개정의 필요성이 있어보입니다.

 

또한 정비구역지정 특허권의 (강학상) 실효를 막기 위해 중대한 정비사업예정시행시기의 정비구역변경으로 인해 특허권의 갱신(변경) 즉 풀체인지의 경우에도 헌법적으로나 현실적으로 특허권의 지나친 남용의 소지가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분양권을 인정해줘야 하고, 이런 경우 등의 사유가 향후 법원, 헌법(헌재)의 새로운 판단이 필요해보입니다.

부산 하이엔드 - 시민공원 촉진3구역 아크로 라로체

지금과 같은 부동산 불황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성과 안정성이 높은 재개발, 재건축에 있어서 손해를 가지 않는 것은 없을까요 ? 즉 맵집 좋은 투자처나 ESG 지속가능한 개발 즉 장기적으로 우수한 퀄러티를 가진 곳은 없을까요? 해답은 하이엔드 사업장입니다. 

 

하이엔드로 채택되었거나 (준) 하이엔드 특화사업장이거나 하이엔드를 지행하거나 후보지 이거나 이런 곳은 맵집이 좋은 곳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하이엔드의 기준은 뭘까요 ? 설령 하이엔드가 아니더라도 풀빵같은 아파트로 언제 또다시 올지 모르는 부동산 거품의 시대에 장기적으로 퀄러티를 가진 ESG 지속가능한 개발의 사업장은 없을까요?

즉 퀀텀도약(양자역학) 형 부동산은 없을까 고민스럽습니다. 

 

그래서 재개발,재건축,아파트분양브랜드에서 하이엔드 기준 가이드라인을 정리해봤습니다. 조합원이나 투자자입장에서는 이런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설령 하이엔드가 아니더라도 지속적인 가치성을 가진 곳으로 자신의 아파트를 좀더 주체적으로 피드백해서 만들어낼수도 있고 구분해 낼수 있는 기준을 알려드릴려 합니다. 부동산 현장에서는 아직 하이엔드에 대해서 그 파급력이나 중요성을 간과하는 곳이 많은데요. 참조로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산 하이엔드 - 우동1구역 DL이앤씨 아크로 원하이드

● 재개발,재건축 도시환경정비에서 하이엔드 가이드라인  

 

1. 현대건설 하이엔드 브랜드 '디에이치(THE H)'  및 미국 부동산전문사이트 리얼터닷컴 기준

 ▶가장 우수한 입지 조건을 갖춘 곳이어야 하며 ▶시공품질관점 ▶서비스관점 ▶사후관리와 고객관리관점 등 7가지 조건을 충족해야만 하이엔드 브랜드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이는 미국 부동산 전문 사이트인 ‘리얼터닷컴’에서는 초호화 주택의 6가지 개념과 비슷한데요. 첫째로는 프라임 입지, 둘째는 명품이라 불릴 만한 가격, 셋째는 최고의 품질, 넷째는 정교하고 품격 있는 커뮤니티 시설, 다섯째는 사생활을 지켜줄 완벽한 보안, 여섯째는 건축적 배경입니다.

 

2. 대림이앤씨 하이엔드 브랜드 '아크로(ACRO)' 기준

 

대림이앤씨는 주택의 시세와 소득, 자산, 소비수준을 기준으로 만 20세 이상 최상위 0.1% (약 12,000명)에 대한 빅데이터 조사를 통해서 360° 전 방위적인 라이프스타일을 통합적으로 분석했는데요. 이를 토대로 진정한 최고 수준의 주거 가치에 대한 정의, 입지, 기술, 품질, 서비스, 디자인 등 모든 요소에 하이엔드 라이프스타일 니즈를 반영한 최상의 주거의 기준을 세워서 ▲모두가 선망하는 최상의 입지(Iconic Landmark) ▲타협하지 않는 최상의 품질(Extraordinary Quality) ▲따라올 수 없는 선도적 기술 혁신(Innovative Technology) ▲소수만이 누리는 맞춤형 서비스(Exceptional Service) ▲취향과 안목이 돋보이는 디자인(Unprecedented Design) 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3. 포스코 건설​ 하이엔드 브랜드 '오티에르(HAUTERRE)' 기준

 

하이엔드 후발주자인 포스코 건설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의 조합원들을 위해 새로운 하이엔드 기준을 내세웠는데요. 이는 "사업 우려 없애고 개발이익 최대로, ‘ZERO SOLUTION’ 도입"이라는 것 입니다.

이는 포스코건설이 탁월한 시공 이외에도 조합의 사업안정성을 돕는 다양한 계획을 조합원들에게 약속했는데요. 사업비·분담금·프리미엄에 대한 걱정을 사업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없애는 ‘제로 솔루션’을 도입, 사업절차까지 하이엔드급으로 지원한다는 것 입니다.
우선 최근 포스코건설이 제안한 방배신동아재건축에 있어서 구체적 사례를 보면 시공자 선정부터 준공까지 조합의 모든 사업비(총 8,390억원 추정)를 포스코건설이 책임 조달한다. 우선, 포스코건설의 자체자금을 통한 1% 고정금리로 초기사업비 300억원을 조달하며 필수사업비 1,750억원도 포스코건설이 직접 책임 지원하며, 다주택자 및 과다채무자, 세입자 문제 등 이주지원을 위해 세대당 12억원 상당의 사업촉진비 6,640억원을 책정하고 대출과 이자에 대한 부담을 없앤 입주분담금 100%를 도입해 조합원들의 각종 금융부담을 줄이고, 착공기준월인 2024년 3월까지 물가인상에 따른 공사비 증가는 없으며 분양가 상한제에 따른 후분양·가산비 극대화 등을 통해 단지 프리미엄과 이익을 최대화 할것이라는 것 입니다.

해운대 센텀권역 우동3구역 디에이치 조감도


● 부산지역 하이엔드 / 특화(준 하이엔드) 지역  

 

[센텀권역]

 

우동1구역(삼호가든재건축)  DL이앤씨 아크로 

 

광안A구역(구 망미2구역)  DL이앤씨 아크로 

우동3구역 현대건설 디에이치

대연4재건축 대우건설 써밋

(예정) 한진CY웨이브시티(유니콘센텀) 롯데건설 르엘

(예정) 남천 메가마트 대우 써밋 

남천2구역 삼익비치 GS건설 자이 (하이엔드급 특화설계)

 

[부산 센트럴파크 시민공원권역]


시민공원 촉진3구역  DL이앤씨 아크로 

[예정] 시민공원 (국제진양물산부지) 대우건설 써밋

[예정] 시민공원 촉진1구역,촉진2구역  GS건설 자이 (하이엔드급 특화설계)

 

 

이상과 같은 곳들이 하이엔드 프랙탈로써 주변지역의 재개발,재건축의 고급화 또는 촉진화를 리더할 지표가 될것 같습니다. 

지금과 같은 부동산불경기에 도시환경정비사업 재개발, 재건축의 투자나 조합원분양권에서 있어서 중요 요소중 하나가 입지뿐만 아니라 조합, 조합원의 사업 운영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즉 어떠한 선장을 뽑고, 어떻게 원팀이 되며, 상호 견제와 지지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뤄나고 있는가 인데요. 외부적으로는 해당 입지, 시공사, 설계가 일반인 관점에서는 '하이엔드' 급이나 이에 속하는 (준)급인가 여부가 최근 부동산 재개발, 재건축 시장에서 아주 중요한 투자의 포인트가 되고 있고, 이런 핵심 정보를 잘 모르는 곳도 많습니다. 즉 장기적 관점에서 하이엔드가 될수 있느냐, 아니면 하이엔급의 특화설계가 가능하느냐, (준)하이엔드급 쯤 되느냐가 부동산 거품의 시대 지속가능한 ESG 퀄러티를 장기간 유지할수 있는 것인데요. 

하이엔드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히 언급하겠습니다. 

 

일단, 이러한 하이엔드나 (준) 하이엔드 사업장에서  최근에 일어난 조합장 및 임원 연임 부결과 해임 결의에 대해서 이야기하려 합니다. 조합장 및 임원은 조합운영에 상당한 중요한 축이 되는데요. 

 

하지만 장기간 관성화되게 되면 고인물도 썩게 되어 문제가 생기는데요. 이를 방치하지 않고 교체를 하느냐 구관이 명관이다 하는것처럼 어느정도 사업진행과 속도를 위해 묵인하느냐가 관건일 것이고, 퀄러티가 높은 조합원들은 시기적절할때 정권교체에 낙점을 찍는 수준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 입니다.

 

이런 대표적인 사례로 하이엔드 4,732세대 분양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재개발의 연임부결(23.3.4)과 2,368세대 분양 부산 금정구 서금사촉진A지구 재개발의 해임(23. 2. 26)에 대해서 이야기하려 합니다.

 

  • 연임 실패 전국 재개발 첫 사례 - 신가동 재개발

그림(1)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재개발의 연임부결(23.3.4) - 대림 아크로 하이엔드 분양사업장

신가동 재개발에 있어, 임원 연임실패는 획기적인 일이라고 보이고, 특성 상 고학력 젊은 층이 투자로 많이 유입되어 있는 상황에서 하이엔드를 유치한 일등공신 조합장 및 임원들이 최근에 임원들간의 내부과 각종 불협화음의 문제로 언론, 행정기관 등 트러블메이크로 전락한 것을 예의 주시하였다가 이번에 연임 부결을 시킨것은 전국 최고의 입지인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에서 처음있는 일이라는 것 입니다.

 

앞으로 선임총회에서 연임에 실패한 조합장 및 임원들이 조만간 있을 선임총회에 다시 나올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현재와 같은 부동산 불경기 상황에서 안정성보다 개혁을 선택한 조합원들의 선택이 분명 평범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신가동에서 하이엔드 대림 아크로를 선택했다는것도 대단히 놀랬지만 그 아크로를 선택한 수장의 연임을 거절한 조합원들의 수준도 분명 상당하다는 것임을 알수 있습니다. 

 

즉 재개발, 재건축에 있어서 조합원들의 수준도 시공사를 매우 긴장하게 하는 일인데요. 신가동 재개발에서는 그런 점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을 잘 체크해서 조합원 분양권을 선택하고 유지하는것도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 재개발,재건축에서 전국적인 해임 트랜드 - 서금사A구역 재개발 뉴타운

서금사A구역 해임총회와 조합사무실에  진입한 조합원들

최근에 재개발, 재건축에 있어서 전국적인 현상으로 조합장 및 임원 해임이 트렌드 유행인데요. 해임이 실력있는 조합원들의 권리행사인지, 아니면 단순 이권을 차지 하려는 비대위 일부 세력인지 구분하려면 비대위의 현장성을 잘 살펴야합니다. 즉 비대위가 조직력, 전문성, 현장성을 갖춰야하는데요. 이 삼박자를 갖추지 못한 비대위를 지지 했다가는 장기간 사업이 지연되거나 오히려 해임을 하지 않으것보다 못하는 상황이 될수 있습니다. 비대위 중에는 사업저지와 시공사, 임원해임을 통해 하이엔드급이나 특화설계, 개발이익율(권리가) 및 할인율, 청산이익금배분 등을 통해 사업성 상당히 높이는 경우도 현장에서 종종 있습니다(부산 우동3구역, 촉진3구역,광안A구역 하이엔드 사업장 등).

 

이번 해임총회를 한 서금사A구역의 경우 7조원대 삼성래미안벨트(장전,온천2,4, 거제2, 연지2)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장과 센텀서금사뉴타운재개발20여곳(제2센텀권역)의 하이엔드급이라 볼수 있는 노란자지역에 있는 곳인데요. 그간 조합과 조합원의 퀄러티에 대해서 낮은 평가를 보아왔는데요. 이런 불만이 이번에 노출되어 해임총회를 결의했고, 현장성을 갖춘 조합원들이 조합사무실에 실력행사로 진입한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